커뮤니티

착한 꿈이 자라는 에프터스쿨매니저센터

정보나눔

몇 살때부터 글을 가르쳐야 할까요?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작성일 : 19-11-04 10:35
  • 조회 : 1,222회

본문


Q. 글자를 7살 때 가르쳤는데 일찍 글자를 배우면 창의성이 떨어진다고 합니다. 글자는 몇 살 때부터 가르쳐야 할까요?

아이가 글을 조금 일찍 배운 것 때문에 창의성이 떨어질까 걱정을 하는 한 어머니가 질문을 한 내용입니다필자의 답은 간단합니다.
 
아이가 몇 살 때 글을 떼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글을 배울 때 얼마나 재미있게, 행복하게 배울 수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사실 아이들이 글을 몇 살 때 배웠는가가 아이들의 창의성으로 연결된다는 완벽한 연구결과는 없습니다어느 정도 지표를 가지고 연구를 하고 여러 가지 결과가 나오긴 합니다만 아이가 스스로 글을 깨우치는 아이도 있고부모가 관심을 갖도록 해서 거부감 없이 행복하게 글을 배우는 아이도 있습니다문제는 강압적으로 배우는 아이들에 대한 염려 때문에 이런 문제들이 야기되는 것이겠지요.
 
그림책으로 먼저 충분한 창의성을 길러주어야 한다는 설도 있습니다만 그렇다면 아인슈타인이나 프로이드 등의 천재들은 그림책으로 공부를 했을까요우리 선조들은 또 어땠을까요?
 
그림책이 아이들의 교재로 쓰이는 것은 역사가 오래되지 않았습니다우리가 어렸을 때만 하더라도 약간의 삽화정도만 있는 책을 읽은 기억이 있습니다오늘날처럼 현란한 그림책은 아니었습니다그러므로 그림책으로 상상력을 키워준다는 말은 잘못된 말은 아니지만 그림책만 상상력을 길러준다는 말은 정답은 아닙니다상상력 때문에 글을 늦게 가르쳐야 한다는 확언 때문에 미리 글을 가르친 것에 대한 걱정을 하는 것은 그야말로 기우입니다.
 
그림책은 다른 사람의 상상력을 보는 것입니다다른 사람의 상상력으로 나의 상상력을 더 크게 만들어가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입니다만 그 상상력에 갇혀서 나의 상상력이 제한된다면 그 또한 환영할 만한 일은 아닙니다.
 
몇 살때 글을 익혀야 한다든지그림책으로 먼저 상상력을 배워야 한다든지발달상황에 맞게 무엇부터 시작해야 한다든지 하는 한정적인 생각에서는 탈피했으면 합니다
자연스럽게, 아이에게 맞게 이야기로서 도와주는 부모의 태도가 더 중요합니다. 우리는 아이들이 이미 천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믿고 배속에 있을 때부터 책을 읽어주고 이야기를 주고 받기도 합니다그런데 막상 세상에 나오면 많은 책에 있는 지식대로 아이에게 적용하려고 노력합니다아이를 키우는 것에 대한 경험이 없으므로 잘 키우고 싶은 기대감에 누군가에게서 도움을 받기를 원하기 때문일 것입니다앞선 세대의 경험이나 책 등에서 지식을 구하는 것도 물론 좋습니다만 더 집중해야 하는 것은 내 아이입니다아이를 잘 관찰하고 대화를 시도하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것입니다.
 
아이의 반응을 보고관찰하며눈을 바라보면 아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아이를 바라보기보다는 지식적인 것에 더 초점을 맞추면 다른 사람들의 말에 좌지우지 될 수밖에 없습니다책마다 천편일률적이 아닌 다른 정보들이 실려 있습니다물론 학술적인 책에는 대부분 비슷한 내용들이 있습니다만 경험을 위주로 쓰여진 육아서에는 이야기들이 다릅니다그 이유는 사실 우리가 잘 알고 있습니다같은 부모에게 태어난 우리아이도 키워보면 같은 시기에 같은 발달 상태를 겪지 않습니다환경도 같고 먹는 음식도 다르지 않습니다만 희안하게도 아이들은 다릅니다제 경우에도 큰 아이는 11개월부터 걸었지만 둘째아이는 더 늦었습니다큰 아이는 돌이 지나면서 짧은 단어도 말하고 3살 때는 말을 곧장 했습니다만 둘째 아이는 4살이 되어도 엄마물이라는 단어밖에 사용하지 않았습니다사실 두 단어만 말한다고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엄마아빠는 아이가 말을 하지 못할 때에도 소통이 가능하잖아요작은 아이는 4살 후반쯤 되어서야 말문이 터졌습니다언어치료를 받지 않아도 큰 문제가 없었습니다.
 
평균이라는 말과 책에서 얻은 지식은 참고사항일 뿐입니다. 어쩌면 저자들이 키운 아이들은 그 시기에 그렇게 했다는 이야기들이 아닐까 합니다.
 
다시 처음의 이야기로 돌아간다면 상상력이 화두가 되는 이 시대에 또 하나의 걱정거리를 안고 가지 않았으면 합니다다른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기보다는 내 아이의 말에표정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귀를 기울여보세요그 아이가 원하는 시기에 맞춰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글자를 배우는 것도 한 글자한 글자 손으로 짚어가면서 아이와 함께 글을 읽어간다면 의외로 더 빨리 글을 깨우칠 지도 모릅니다한 글자씩 글을 짚어가면서 읽어간다는 것은 부모의 인내가 필요한 행동이고의외로 부모가 함께 하는 시간은 어린 유아들에게는 크게 지루하지 않는 시간이 됩니다그런 유아들의 심리를 잘 알고 있다면 글을 배우게 하는 것도 쉽겠지요그래서 몇 살 때 글을 떼면 좋다거나 그림책으로 상상력을 먼저 길러라는 말은 중요하지 않고 실제로 문구는 실제 인문고전이나 교육서에는 읽은 적이 없습니다그런 책들이 쓰여진 시대에는 그림책조차 없었죠그냥
부모가 아이와 함께 글을 읽어 가는 것을 즐기면 아이들은 자연스럽고 행복하게 글을 배울 수 있을 것입니다.


시리즈콜라보속시원한 육아 Q&A 7세                                                                                 

베이비뉴스

2019.09.20.













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사이트맵

센터소개
서비스안내
활동매니저소개
신청·지원
커뮤니티
이용후기
닫기